공유오피스는 1인 사업가나 프리랜서가 사무실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피스 종류 중 하나로 사업장 등록 시 공유오피스를 주소지로 등록하고자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공유오피스는 말 그대로 여러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공간으로 본인만 사용하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자 주소지 등록이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공유오피스 사업자등록 시 주소지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공유오피스 사업자 주소지 등록 여부
공유오피스에 사업자 주소지가 등록 가능한 경우를 판별하는 방법은 바로 해당 공유오피스에서 ‘비상주사무실’ 서비스를 운영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자신이 이용하고자하는 공유오피스에서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공유오피스 이용 시 사업자 주소지로 등록이 가능하겠습니다.
또한 각 호실이 구별되어 있어 보다 정확한 주소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공유오피스를 사업장으로 등록하는 경우 집 주소 노출을 피하고 우편물 등을 사업장으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업자등록이 불가능한 공유오피스
모든 공유오피스에서 사업자등록이 가능한 것만은 아닌데요, 그 사례는 본인이 이용하는 공유오피스가 근린생활시설이 아닌 교육 및 연구시설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속합니다.
또한 특정 호실을 임대하지 않고 공유된 자리만 잠시 빌려 업무를 하는 경우 사업자등록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에는 사업자 등록을 위해 따로 ‘비상주오피스’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비상주사무실 사업자등록
비상주사무실이란 실제로 해당 사무실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사업자 등록을 위한 주소지를 발급해주는 서비스에 속합니다.
인터넷으로 일을 하거나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별도의 사무실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아 사업장 주소 노출을 꺼린다면 비상주 사무실을 통해 사업자등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상주사무실 월 비용은 3만원이며, 1년 단위로 계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말 그대로 ‘비상주’이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가지 않아도 주소지 등록이 가능하지만, 종종 세무서나 은행에서 실사를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사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인 사업자, 프리랜서의 경우 비상주 사무실 등록 + 자택근무를 통한 방법이 가장 저렴하고 가성비 좋게 사업자를 영위하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